9월 출시가 예정된 아이폰 13은 출시일이 다가오면서 유출 소식이 더구체화되고 또 일부 유출 소식은 변경까지 되고 있습니다. 자세히 비교 분석해보자
오늘은 지금까지 알려진 유출 내용들을 바탕으로 아이폰 13에서 달라지는 중요한 사항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카메라 디자인★
이번 아이폰 13도 아이폰 12처럼 4가지 모델을 출시합니다. 아이폰 13 미니와 아이폰 13, 아이폰 13프로 그리고 아이폰 13프로 맥스 모델입니다. 4가지 모델 모두 아이폰 12와 화면 크기는 동일하고 테두리가 평평한 소위 말하는 깻잎 통 디자인도 그대로 유지가 되지만 카메라 부분의 모양이 달라질 것으로 예상이 되고 있습니다. 얼마 전 유출된 최신 CAD자료를 바탕으로 렌더링 이미지가 만들어졌는데요 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은 카메라가 대각선으로 배치됐다는 것입니다.
듀얼 카메라가 탑재돼있는 아이폰 13 미니와 기본 아이폰 13 모델은 기존 수직 렌즈 배열 대신 대각선 배열을 채택했는데요 이는 카메라 렌즈의 크기가 조금 더 커졌기 때문이라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다만 카메라 섬 자체의 크기는 큰 변화는 없어 보이고 듀얼 카메라의 구성은 광각과 초광각으로 아이폰 12와 동일합니다. 더 커진 카메라 렌즈는 프로라인에도 적용됩니다.
아이폰 13프로와 프로 맥스는 트리플 카메라로 렌즈가 배열된 모양은 전작과 같지만 렌즈의 크기가 커짐과 동시에 카메라 섬의 크기까지 더 커졌습니다. 아이폰 12와 비교해보면 얼마나 커졌는지 알 수가 있습니다. 카메라 섬의 크기와 함께 카툭튀의 정도도 더 심해졌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아이폰 13프로 라인은 기존보다 0.87mm 일반 라인은 기본보다 0.99mm 더 돌출돼 있다고 합니다. 이렇게 카메라 섬 모양이 바뀌면서 아이폰 13은 카메라 섬의 모양만으로도 기존 아이폰과 구별괴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카메라 성능★
카메라 모듈이 커지고 두꺼워지는 만큼 카메라 성능도 좋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이폰 12에서는 프로맥스 모델에만 적용됐던 센서 시프트 카메라 손떨림 방지 기술이 아이폰 13에서는 모든 모델에 탑재될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초광각 카메라의 조리개 수치가 더 밝아지면서(F2.4--> F1.8) 어두운 환경에서 보다 쾌적한 카메라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한편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죠 라이다 스캐너 탑재에 대한 주장은 엇갈리고 있는데요 일부에서는 라이다 스캐너가 아이폰 13전 모델에 탑재된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여전히 아이폰 13프로 라인에만 탑재된다는 소식도 공존하고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은 조금 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아이폰 13 배터리★
아이폰 12의 단점 중에 하나는 작은 배터리 용량이였습니다. 아무리 전성비가 좋은 A14바이오닉 칩셋을 쓴다고는 하지만 아이폰12프로맥스 3687mah,기본 아이폰12와 아이폰12프로 2815mah아이폰12미니 2227mah에 그치는등 아이폰12의 배터리 용량은 유저들을 불안하게 만들기도 했었는데요 이번 아이폰 13은 배터리 용량을 늘리는데 초첨을 맞춘 것으로 보입니다. 아이폰 13 미니의 배터리 용량은 전작보다 8% 늘어난 2406mAh 일반 아이폰 13과 아이폰 13프로 모델은 전작보다 10%늘어난3095mAh 아이폰13프로 맥스 모델은 전작보다 18%나 더 늘어난 4352mAh의 배터리 용량을 가질 것으로 보입니다. 여기에 전력 효율이 20% 정도나 더 좋아진 A15바이오닉 칩셋이 탑재되면서 배터리 타임이 훨씬 길어질 것으로 유저들은 기대하고 있습니다. 다만 더 큰 배터리 때문인지 아이폰 13의 두께는 아이폰 12보다 약 0.25mm 더 두꺼워질 수 있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아이폰 13 120hz 주사율 디스플레이★
드디어 아이폰에도 120HZ의 고주사율 디스플레이가 탑재된다는 소식입니다. 다 만 120HZ 고주 사율은 프로라인에만 적용될 것이라고 하는데요
지난 5월, 삼성 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아이폰 13에 들어갈 OLED 패널을 생산하기 시작했다는 소식도 전해졌습니다. 삼성 디스플레이는 아이폰 13프로 라인에 들어가는 120 HZLTPO디스플레이를 LG디스플레이는 일반 아이폰에 들어가는 60 HZLTPS방식의 디스플레이를 애플에 납품할 것이라는 소식입니다. 120HZ 주사율은 배터리를 더 많이 소모하지만 저전력 LTPO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전력소비를 최대한(LTPS 대비 15-20%) 줄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작은 노치★
노치가 작아진다는 이야기는 아이폰 12일 때에도 있었습니다.
이번에는 정말 노치가 작아질 것이라고 업계에서는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 지난 3월부터 작아진 노치에 대한 사진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는데요 이 사진들이 가리키는 작은 노치의 모양이 일치하고 있습니다. 유출된 디스플레이 패널은 노치의 크기나 센서의 구멍 그리고 결정적으로 상단 베젤 부분으로 옮겨간 수화기 스피커의 모습이 일치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노치의 너비가 34.83mm에서 26.80mm로 줄어든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얼마 전 유출 내용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아이폰 13 더미 모델을 보면 줄어든 노치의 모양을 더 구체적으로 실감 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노치는 아이폰 전면 디자인에서 눈에 띄는 가장 큰 특징인 만큼 이번에는 꼭 변화가 있기를 바라봅니다.
★아이폰 13 충전 구멍 없다? 있다?★
아이폰 13에서 충전 포트를 과연 없앨 것인가 하는 것은 유저들이 가장 큰 관심을 보였던 내용 중에 하나였습니다.
아이폰 13이 최초의 포트리스 아이폰이 될 것이다 라고 주장했던 유명 애플 애널리스트 밍치 궈가 얼마 전 올해 아이폰 13에는 라이트닝 포트가 유지될 것이라고 입장을 바궜습니다. 아직 무선 충전 방식인 맥세이프 생태계가 충분히 갖추어져 있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이 그 이유라고 덧붙였는데요 밍치 궈는 애플은 당분간은 라이트닝 포트를 계속 유지할 것이라면서 라이트닝을 없애기 전까지 애플이 아이폰에 c타입 포트를 사용하는 일은 절대 없을 것이라고 전하기도 했습니다. 그의 말이 맞다면 향후 몇 년 동안에는 라이트닝 포트가 달려있는 아이폰을 계속 만나볼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습니다.
★그밖에★
그 밖에도 페이스 아이디와 함께 터치 아이디가 추가로 적용될 수 있다는 소식도 있는데요 시기적으로 마스크 사용이 많은 만큼 페이스 아이디를 사용하기 힘든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고 그 이유를 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애플이 이 두 가지 센서를 전부 다 넣어줄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의견도 많은 상태입니다. 이번 아이폰 13에는 최고 1TB의 저장 용량 옵션이 있다는 소식도 들려오는데요 고용량 옵션이 생긴다는 것은 반가운 일이지만 그만큼 그 가격도 함께 걱정이 될 수밖에 없겠죠 또한 이번 아이폰 13은 로즈 핑크색 옵션도 존재할 것이다 라는 소식도 일부 들려오고 있습니다.
이 소식도 앞으로의 추가 유출 내용들을 좀 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아이폰 13이 기대되네요 출시 전에는 또 어떤 것들이 변화돼서 나올는지 더 궁금해집니다 더 좋은 내용이 유출되거나 소식이 들려오면 포스팅할게요 감사합니다
'IT제품 알아보아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업무용 키보드 베스트5 착한가격대 기계식,펜타그래프 키보드종류 (0) | 2021.06.12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