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TV만 틀면 나오는 광고이고 이미지 좋은 유명 연예인이 광고해서 국민 누구나 알고 있는 약국에서 판매되는 제품들인데요 정확하게 알고 드셔야 합니다.
1,서론(광고,소비자) |
2,약품회사(광고) |
3,약품회사 매출표 |
4,식약청 효능 |
5,변경후 및 벌금(과징금) |
6,마무리 |
1, 서론(소비자)
한해에 수백 원씩 팔리는 약이 가깝고도 먼 나라 일본에서는 효과가 없어서 판매가 중지된 약이라면 믿으시겠어요? 옛날부터 TV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광고가 피로 해소, 혈관, 시력, 관절염, 잇몸건강 같은 제약회사의 의약품 광고들인데요 광고는 심리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제약회사들은 소비자들이 의약지식은 부족하지만 건강에 대한 염려는 크다는 심리적인 불안감을 이용해서 아주 작은 효과로도 큰 효과가 있는 것처럼 광고하는 과장광고를 많이 하고 있습니다.
2, 약품회사(우루 X)
2013년도에 발간돼 책인데요(식후 30분 후에 읽으세요 <---책 제목) 건강한 사회를 위한 약사회에서 식후 30분에 읽으세요 약사도 잘 모르는 약 이야기라는 책이 나왔고 같은 해 09월 07일 MBC늇 데스크에서 이 책에 나온 우루 X 효능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내용을 보도해서 국민들도 의약품의 과장광고에 대해 많이 알게 됐습니다. 그때 MBC는 피로 해소제로 알려진 모제약사의 제품이 실제로는 소화제에 가깝다는 주장이 제기됫고 방송을 했었는데요 <식후 30분에 읽으세요>에서 방송 보도의 근거가 된 내용은 그 제품의 주성분인UDCA의 피로해소 효과에 대한 객관적인 학술 근거가 없다 그제품은 피로 해소 제보다 소화제에 가깝다 육체피로 완화로 허가받은 약은 타우린, 비타민B 등을 포함한 복합제 제일뿐이다 이, 부분이었는데요 그리고 병원에서는 확실히 25mg, 50mg는 소화제 쪽으로 분류를 해요 라는 리병도 약사의 인터뷰를 방송했는데요 실제로도 25mg, 50mg, 100mg, 200m, 300mg, 용량으로 나뉘어 출시하고 있고 25mg, 50mg, 두 제품에 한해 피로해서 효과가 없다는 것을 뒷받침한 인터뷰였습니다.
(1) 약품회사 광고
비타민b가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소량 들어있을 뿐인데 피로회복제로 광고를 하는 건데요 한국사회가 워낙 피로가 누적돼 사회이다 보니깐 이런 특성을 잘 노린 마케팅 방법인 것 같습니다. 우르 x 비타민B가 들어간 영양제를 먹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다른 회사 제품-
다음으로 인사 X 하고 이가 X도 TV광고에 정말 자주 나오죠 두 제품이 서로 라이벌 관계라서 경쟁 때문에 과장광고 논란도 끊이지 않습니다. 예전에 광고모델이 이 제품을 먹고 트럭을 끄는가 하면 피사의 사탑을 끌어당기는 광고를 하기도 했죠 당연히 소비자들은 치료 효과가 있는 잇몸약 또는 치료제로 알게 됐는데요 하지만 이번에도 2013년 MBC 불만제로 UP 프로그램에서 이 제품들이 비타민과 같은 영양제라는 의견을 방송했습니다. 인사 X은 1974년에 프랑스에서 수입된 제품이지만 프랑스에서는 진작에 의약품 허가가 취소됐고 건강기능식품으로 변경돼 판매 중이고요 이가X을 최초 개발한 일본에서는 효과가 없다는 이유로 판매가 중지된 상태라고 합니다.
3, 약품회사 매츨표
- 하지만 이 제품은 여전히 피로회복제로 유명해서 국내 의약품 만매 순위 1 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서 이 회사의 분기 보고서를 검색해보실 수 있는데요 올해 1분기에만 이 제품 하나로 206억 5천9백만 원의 매출을 올렸고 회사 내 주요 제품 중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저 또한 피로는 간 때문이라는 광고를 너무 많이 들어서 정말 과학적으로 간이 피로하고 관계가 깊은 것처럼 생각하고 있는데요 간 건강은 피로와 관련이 있다는 전국민적 인식때문에 다른 유사 약들도 간 건강과 피로를 연결시켜 홍보를 많이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팩트는 간때문일수 있고 간때문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대부분의 질환이 교과서에 나와있는 첫 번째 증상은 피로감입니다 하지만 이것은 간세포가 손상되었을 때 나타나는 아주 비특이적인 증상이기 때문에 이런 증상이 꼭 간 때문이다 라고 말씀드릴 수 없습니다.(고려대학교-구로병원간센터 이영선 교수)
- 그러다가 2019년에 다시 피로 해소 효과가 입증됐다는 광고를 대대적으로 했는데요
하지만 이광 고도 이번에는 바른 의료연구소, 에서 식약청에 이 제품의 간 기능 개선화과는 임상시험에서 전혀 검증되지 안았다고 주장하면서 과장 광고라며 민원을 제기했습니다. 간기능 개선 효과가 전혀 입증되지 않았고 피로호복 교화 역시 불분명하다고 했는데요 이에 대해 식약청에서 의약품광고심의위원회 심의를 받은 것으로 확인됩니다. 이렇게 형식적인 답변만 했고요 그래서 감사원에서 나서서 조사한 결과 간수치 개선 부분을 향후 TV광고 등에 사용하지 못하도록 처리했는데요 이에 화가낭 제약회사에서 이번에는 바른 의료연구소를 명예훼손 및 업무방해 금지 가처분 소송을 제기했지만 법원에서 이 소송을 기가 하게 됩니다. 이연구소가 의사를 대표하는 곳은 아니기 때문에 제품 구매에 대한 판단은 여러분이 스스로 결정하시거나 전문가와 상희 하시면 좋겠습니다.
-식약청 효능-
이후 식약처가 효능과 관련해 재검증을 했고 2016년에 기존 치료제에서 치료보조제로 강등됐습니다. 치과에서 치료를 중점적으로 진행해야 하고 보조요법으로 사용하라고 권고했고 사용상 주의사항으로 장기간 계속해 사용하지 말 것을 포함하기도 했는데요
-변경 후에도-
이걸 잘 모르고 꾸준히 드시는 분들도 계시죠 변경대비표에도 치주치료 후, 보조치료라고 나와있습니다. 그래서 최근 광고를 확인해보니까 아래에 작은 글씨로 <효능효과:치주치료 후 치은염, 경/중증도 치주염의 보조치료>라고 표시를 했네요 그러니깐 치과치료를 안 하면 효과를 보기 어렵다는 겁니다. 치과부터 가셔서 먼저 치료를 받고 의사 선생님과 상담을 하고 보조치료약으로 먹어도 되는지를 알아보시고 드셔야 하는 거죠 하지만 해외에서는 건강기능식품이나 판매 중지된 제품인데도 불구하고 상당수의 어르신들이 만성 잇몸 질환이 많으시니까 거의 습관적으로 계속 드시고 계시는 것 같습니다.
-벌금(과징금)
실제로 두 회사 모두 2013년부터 여러 차례 과장광고로 과징금 처분을 받았고 비교적 최근인 2019년도에도 두 회 사 모두 과대광고로 과징금 처분을 받았는데요 양쪽 모두 예전 방식 그대로 증상은 달라도 잇몸병엔 역시라고 광고하는 등 소비자가 오인할 우려가 있는 광고를 한 사실이 있다 고 인정돼서 약사법 68조에 따라 식약처로부터 과징금 7,170만 원을 부과받았습니다. 하지만 같은 해 2019년에 인사 X 하나만으로 얻은 매출금액이 427억이었고요 이가 X 하나로 229억의 매출을 올렸습니다. 7,000만 원이 넘는 금액의 과징금이라는 뉴스만 보면 큰 금액처럼 생각할 수 있지만 매출금액을 보면 왜 계속 비슷한 광고를 수십 년째 하는지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마무리-
식약처에서 유해한 약은 아니라고 하니깐 필요하신 분들은 치과나 약국에서 전문가에게 적절한 진료와 복용방법 등을 꼭 상담하시고 구입하시면 좋겠습니다.
'핫이슈및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회수엄청난 초간단볶음밥 개꿀팁방출 모두가좋아하는 컵밥의비밀 (0) | 2021.06.19 |
---|---|
모기보다 후유증이심하고 점점심각해지는 여름공포 먹파리(샌드플라이) (0) | 2021.06.18 |
스마트폰으로 무엇이든 검색해주는 구글렌즈 주머니속에요술지팡이같네요 (0) | 2021.06.17 |
크루엘라100만돌파 개봉3주만에 첫주말 정상괘도 (0) | 2021.06.16 |
2021년 대체휴일 기존휴일과바뀐내용은 무엇이며 올해는 몇번남았을까? (0) | 2021.06.15 |
댓글